2024. 1. 3. 16:32ㆍ코딩세상/C-언어
내가 짠 예제 프로그램 실행을 위하여서는 컴파일을 하여야 한다.
한 번에 실행 파일이 뚝딱 만들어지지는 않기에 디버깅은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한다.
추천드리는 방법은 단계적으로 코딩해서 자주자주 컴파일을 하는 것이다.
컴파일이 되어야 실행을 하여 논리적인 버그도 수정이 가능하다.
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컴파일을 할 수 있다.
test.c 파일에 main만 넣고 컴파일 한 것이다.
이 때는 gcc 컴파일을 사용하였다.
또 다른 방법으로는 make 실행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다.
make의 내부 rule을 이용하는 것으로, c 프로그램 이름만 매개 변수로 주면 해당 파일을 찾아서 확장자를 뺀 이름으로 실행 파일을 생성해 주는 것이다.
Makefile 작성 필요 없이 간단한 test 프로그램을 가장 간단하게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다.
단계적으로 컴파일 하여 중간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능력이 된다면 그다음부터의 코딩은 논리적인 사고의 영역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.
필요한 header 파일은 컴파일 시 알려 주므로 가능한 시스템을 의지 하자.
입력 받은 매개 변수를 출력을 해 보자
헤더 파일을 지정해 주지 않아서 뭔가 에러나 워닝 메시지가 나올 것이다.
stdio.h 가 없다는 warning이 발생했지만 실행 파일은 만들어지고, 정상적으로 동작이 된다.
컴파일을 할 수 있고, 디버깅을 할 수 있다면 이제 코딩을 해 보아도 된다.
간단한 프로그램들을 어떻게 구현 할 수 있는지 단계적으로 해 보도록 하자.
'코딩세상 > C-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C언어) String의 주소 이해하기 ("...") (1) | 2024.01.09 |
---|---|
(C언어) 연속된 enum 처리를 위한 switch문 사용하기 (case 0 ... 9:) (0) | 2024.01.08 |
(C언어) 변수에 저장된 값을 10진수 16진수 string으로 변환하기 (0) | 2024.01.05 |
(C언어) printf() 함수 성능 및 예외 상황에서 출력 이해하기 (1) | 2024.01.04 |
(C언어) 프로그램 실행 시 main을 어떻게 찾아갈까? (1) | 2024.01.02 |